티스토리 뷰


네트워크의 계층은 크게 5단계로 나뉜다.


5계층 :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4계층 : 트랜스포트 계층(Transport layer)

3계층 :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2계층 :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1계층 : 물리 계층(Physical layer)


우리는 누군가에게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그 메시지는 이 순서를 거쳐 보내진다.




보낸이 → 응용계층 → 트랜스 → 네트워크 → 링크 → 물리

                                                                          ↓

받는이 ← 응용계층 ← 트랜스 ← 네트워크 ← 링크 ←  ←




하나씩 살펴보면 이렇다.


1. 응용계층은 통신망으로 연결된 응용프로세서들의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는 계층이다.(FTP, HTTP 이런 응용계층)

다시 말하면, 클라이언트의 메시지가 mail일지, FTP식 파일전송일지, HTTP식 웹전송인지 전달 프로토콜을 설정한다. (ex. 메일전송 프로토콜 SMTP, 파일전송 FTP, 하이퍼텍스트 전송 HTTP 등)


2. 설정된 프로토콜을 전송해야 한다. 그것을 트랜스포트 계층이 담당한다. (전송프로토콜 : TCP 혹은 UDP) 즉, 전송 방식을 설정한다.


3. 실제 네트워크를 담당하는 네트워크 계층은 연결된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과 교환 기능을 담당한다.(대표적인 프로토콜은 IP)

IP는 호스트 간 어드레싱(주소에 맞게 접근하는 것)과 패킷 라우팅을 담당한다. IP는 TCP에서 시키는 대로 보내기만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전송 형태에 대한것은 TCP가 설정해 두었으니 IP는 보내기만 한다는 개념. (여기서 보낼때 최단경로 라든지, 뭐부터 전송할지 등을 해 주는 장비를 라우터라고 한다.)


4. 위 네트워크 계층에서 라우터를 통해 패킷을 전달하는데, 경로상 한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 패킷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링크 계층'을 거쳐야 한다. 링크 계층은 물리계층에서 사용되는 통신 매체를 통해 데이터 블록의 전송 에러 검출 및 에러 제어를 관리하고 규정하는 계층이며, 결국 완전한 실제 전달 역할을 한다.


5. 노드에서 노드로 갈때의 실제 전송매체를 물리계층이라고 한다.(광케이블이나 동축케이블 등의 물리적 매체)

Comments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